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프로듀스 48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데뷔 그룹에 대한 내용은 IZ*ONE 문서
IZ*ONE번 문단을
IZ*ONE#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프로듀스 48 로고 화이트.svg프로듀스 48
PRODUCE 48 | プロデュース 48
||
파일:2018061102484_4.jpg
방송사Mnet
제작사CJ E&M, AKATV
방영 기간2018년 6월 15일[1] ~ 2018년 8월 31일
방송 시간매주 금요일 23:00~익일(토) 01:30(150분)[2]
제작진
기획CJ E&M | 김용범
총연출
안준영
출연진
진행자[3]이승기
트레이너
이홍기(V), 소유(V), 치타(R)
배윤정(D), 최영준(D), 메이제이 리(D)
연습생
프로듀스 48/참가자
스폰서G마켓, 스쿨룩스, 아임미미
플레이버 워터, 로바이, 마몽드, 데싱디바, 써브웨이, 오렌즈, 살레와, 오버히트
국내등급파일:Mnet 15세.png 15세 이상 시청가
공식 링크파일:엠넷 로고.svg 공식 홈페이지[4]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1. 개요
2. 시놉시스 및 예고편
3. 방영 목록
4. 방영 전 정보
4.1. 방영 전 소문
5. 출연진
6. 참가 기획사
6.1. 한국 기획사
6.2. 일본 기획사
7.1. 한국 참가자
7.2. 일본 참가자
8. 각종 기록
9. 시청률
10. 프로그램 외 활동
10.1. 무대 출연
10.2. 윙크요정, 내꺼야!
10.3. 국프의 정원
10.4. 히든박스
10.5. 도전! 아이컨택
10.6. 마이크, 내꺼야!
11. 이전 시즌과의 차이점
15. 음원
15.1. 싱글
15.2. 컴필레이션 음반
15.3. 파이널 음반
16. 관련 걸그룹
16.1. 데뷔조
16.2. 기존 걸그룹
16.3. 기존 걸그룹에 새 멤버로 합류
16.4. 신규 걸그룹
16.5. 솔로 가수 데뷔
17. 평가
18. 여성시대 장미단의 프로듀스 48 여론 조작 시도
18.1. 반박
19. 여담



1. 개요[편집]


96명 소녀들의 빛나는 도전

당신의 소녀에게 투표하라!

2018년 6월 15일부터 8월 31일까지 방영했던 엠넷걸그룹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자 엠넷의 대표 히트작인 프로듀스 101 시리즈의 3번째 시즌이다. 국내 연예 기획사들의 연습생들이 모여서 진행되었던 이전 시즌과 다르게 최초로 한·일 합작 프로젝트로 진행되는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로고에서 Produce의 폰트는 프로듀스 101을 따르며, '48'의 폰트는 AKB48 및 AKB계열 그룹 로고 타이포에 사용되는 폰트와 동일하다.

한·일 합작 프로젝트로 진행되는 프로듀스 48은 한국의 국민 프로듀서들이 직접 투표로 걸그룹 데뷔조 멤버 12명을 선발하는 한국의 '프로듀스 101' 시스템과 일본의 프로듀서 아키모토 야스시의 '만나러 갈 수 있는 아이돌'을 콘셉트로 전용 극장에서 상시 라이브 공연을 하는 일본의 AKB48 시스템이 결합된 콜라보레이션 프로젝트이며, 한일문화 교류가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공교롭게도, 프로듀스 48이 방영된 해인 2018년은 일본 대중문화 개방 2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

한국의 엠넷AKB48의 프로듀서 아키모토 야스시가 직접 손을 잡고 공동으로 프로그램을 주관하며, 48사단 측의 요청으로 2016년 가을부터 공동 프로젝트 진행에 대한 논의를 해왔다고 한다. #[5]

그래서, 12명의 걸그룹 데뷔조의 앨범은 아키모토 야스시플레디스한성수가 공동으로 프로듀싱한다. 매니지먼트는 작년과 달리 CJ 산하 신생 기획사인 오프더레코드 엔터테인먼트에서 담당한다. 계약 기간은 2021년 4월까지다. 한국의 국민 프로듀서들이 엠넷 공식 홈페이지와 G마켓[6] 에서 각각 2번 투표를 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유료 케이블 채널 BS 스카파에서 방영한다. 월 요금 2,484엔이다. 이외에도 온라인을 비롯한 여러 유료 플랫폼으로 방영한다. 자막은 실시간 자막으로 추정되며, 한국어 방송 내용의 약 20%는 거의 흘려버리는 수준의 자막이다. 일본의 무료 인터넷 방송국인 아베마 TV에서도 2018년 12월 19일부터 방송된다.


2. 시놉시스 및 예고편[편집]


파일:img_about_02(48).png

PRODUCE 48 = PRODUCE101 + AKB48

다시 새롭게 시작하는 프로듀스48

국민 프로듀서님의 선택은 언제나 옳았습니다.

아이오아이, 워너원의 뒤를 이을 주인공은?


3. 방영 목록[편집]





날짜 제목 주제
2018년 6월 15일프로듀스48 1화연습생 트레이닝 센터 입소, <내꺼야> 등급 평가 1
2018년 6월 22일프로듀스48 2화<내꺼야> 등급 평가 2, 등급 재평가
2018년 6월 29일프로듀스48 3화<내꺼야> 센터 선발전, 그룹 분배, 그룹 배틀 평가 경연 1
2018년 7월 6일프로듀스48 4화그룹 배틀 평가 경연 2, 그룹 배틀 평가 득표수 발표
2018년 7월 13일프로듀스48 5화1차 순위발표식
2018년 7월 20일프로듀스48 6화포지션 평가 그룹 분배, 포지션 평가 경연 1
2018년 7월 27일프로듀스48 7화포지션 평가 경연 2, 포지션 평가 득표수 발표
2018년 8월 3일프로듀스48 8화2차 순위발표식
2018년 8월 10일프로듀스48 9화콘셉트 평가 연습
2018년 8월 17일프로듀스48 10화콘셉트 평가 경연, 콘셉트 평가 득표수 발표
2018년 8월 24일프로듀스48 11화3차 순위발표식, 데뷔 평가 연습
2018년 8월 31일프로듀스48 12화데뷔 평가 경연, 최종 순위발표식 (생방송)

2019년 5월 24일, 엠넷 공식 V라이브 채널을 통해 전편이 공개되었다. 단 7화는 재생목록에서 빠져있으니 주의
투표조작이 발각된 이후 VOD서비스와 관련영상 대부분이 시청불가가 되었다.
위험을 무릅쓰고 시청을 원한다면 https://home.soshistagram.com/naver_v/ 이 주소에 링크를 복사하면 시청이 가능다.[7] 지금은 VPN을 이용해야 한다.VPN도 막힌다.(TouchVPN 기준)


4. 방영 전 정보[편집]


  • 2017년 11월 29일 MAMA in JAPAN에서 콜라보 한다는 공개를 했다.

  • 2017년 12월 10일 AKB48홍백가합전 이벤트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AKB48는 일본 내 자매 그룹까지 합해 약 310명의 멤버가 자유 응모하는 형식으로 12월 15일~1월 10일까지 프로듀스 48에 참가하는 오디션 신청을 받았다.

  • 프로듀스 101 시즌1과 시즌2의 총연출을 담당했던 안준영 PD가 연출을 맡는다.

  • 첫 촬영은 2018년 4월 11일에 시작한다고 하고, 방영 예정월은 6월로 확정되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4월 11일 전날인 10일 김포 공항을 통해 일본 측 AKB사단 참가자들이 입국했다.

  • 언론에 따르면, 해당 프로그램에 그룹 아이오아이의 완전체 스페셜 게스트의 참여 가능성도 높게 보고 있고, 섭외도 추진 중이라고 밝혀졌다. 하지만 아이오아이의 섭외 건에 대해 말이 많았다. 그 이유는 바로 방송사 엠넷이 아이오아이를 홍보용으로 섭외한다는 부정적 여론들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 트레이너로 보컬에 이홍기소유, 랩에 치타, 댄스에 배윤정, 최영준[8], 메이제이 리[9]가 참여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

  • 2018년 4월 12일 프로듀스 48로 결성된 그룹의 계약 기간이 2년 6개월로 확정되었다. #

  • 2018년 4월 11일 프로듀스 48의 첫 녹화장에 아이오아이의 센터 전소미Wanna One의 센터 강다니엘이 방문한 것이 알려졌다. # 또한 이번 시즌의 출연한 모든 참가자들에게 출연한 회당 10만원, 프로그램을 통해 음원을 발매하는 참가자의 경우 1곡 당 100만원을 지급한다. #

  • 2018년 4월 18일 프로듀서 대표로 이승기가 낙점되었다. #


  • 4월 22일 인천[10] Mnet 엠카운트다운 녹화에서 프듀48 방송을 앞두고 대중에게 선보일 첫 시그널송 무대를 촬영한다. 지난 두 시즌과는 달리 등급대로 나뉘어 선보였던 삼각형 대형에서 탈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


  • 일본의 위성방송 BS스카파!에서의 방영이 결정되면서 한·일 동시방영이 확정되었다. #

  • 2018년 5월 10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일대에서 프로듀스 48의 참가자들이 모두 모여서 게릴라 팬미팅을 개최했고 국민 프로듀서 팬들과 첫 만남을 가졌다.#



4.1. 방영 전 소문[편집]


  • 이미 오디션 프로그램에 참여해 인지도가 높거나 데뷔 경험이 있는 참가자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고 한다. 한편으로 한 번이라도 오디션 프로그램에 참가했던 경우는 배제한다는 얘기가 있다. 확정된 참가자 명단이라는 정체 불명의 글이 웹상에 돌고 있는데 진위 여부는 알 수 없다.

  • 서울도쿄에서 각각 생방송 공연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 참가자는 48명이 아닌 그 이상이 될 것이라고 한다. 떠도는 소문으로는 원래 한일 통합 48명을 기획했으나, 자유모집으로 진행했던 일본 AKB 사단에서 생각 외로 많은 지원자가 몰렸고, 이에 일본 참가자를 더 뽑게 되면서 한국 참가자 인원 증대의 필요성이 생겨 긴급히 아역배우 출신 등등에게까지 전화를 돌려 추가 모집을 진행했다고 한다. 공식 티저영상을 통해 두 배인 총 96명이 참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1]

  • 정식 데뷔 후 주된 활동지는 대한민국이 될 가능성이 높다.

  • 한국과 일본 뿐이 아닌 여러 나라의 걸그룹 지망생들을 참가자로 받을 것이라고 한다.

  • AKB48에서는 하위권에서 다수가 지원했고 출연 물망에 오른 인기 멤버도 여럿 있다고 한다.

  • 프로듀스48 제작진 및 엠넷의 직원들이 직접 일본에 넘어가서 일본 측 지원자들에 대한 면접을 실시했는데 이 과정에서 합격 여부와 관계 없이 지원자 모두에게 엠넷의 로고가 박힌 목베개를 기념품으로 선물했다고 한다. 이 목베개의 개수가 총 '85개'였다고 하며, 보통 기념품을 1인당 2개 이상 주지는 않으니 일본 측 지원자는 총 85명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12]

  • 전 시즌들이 큰 인기를 끈 만큼 국내에서 프로듀스 48 참가 명단 공개 전 출연진에 대한 많은 소문이 돌았다. 일본 측에서는 악수회에서 프로듀스 48 오디션 참가를 알린 멤버도 있었고 한국 측에서는 아이돌학교 퇴소자들과 프로듀스 101 방출자들의 참여가 거론되었다. 프로듀스 48에 참가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은 김다니AOA 찬미가 SNS를 통해 프로듀스 48 참여를 부인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CLC 최유진[13], 정답소녀 김수정 등 온라인상에서 떠돌고 있는 출연 명단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기사1, #기사2 그 명단은 자세히 보면 엉성한 부분이 많았다. 찬미가 '현직 아이돌'이라고만 표시되어 있는 등. 문제의 명단에 들어 있던 한혜리도 직접 참가 사실을 부인했으며, 역시 참가 소문이 돌았던 다이아은진은 건강상의 이유를 들어 2018년 5월 7일 자필 편지로 팀 탈퇴와 함께 연예계 은퇴를 선언했다.

  • 프로듀스 48 티저 공개 후 “2012년에 데뷔”했던 참가자에 대해서도 많은 소문이 돌고 있다. 대표적으로 헬로비너스나라, 애프터스쿨가은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 2018년 5월 10일 서울 상암동에서 게릴라 팬미팅을 개최했다.#


5. 출연진[편집]


Main MC
이승기
Trainers
이홍기
Vocal
소유
Vocal
치타
Rap
배윤정
Dance
최영준
Dance
메이제이 리
Dance


6. 참가 기획사[편집]



6.1. 한국 기획사[편집]


소속사연습생소속 연예인응원 동영상시즌1/시즌2
소속 연습생
비고
2018년 5월 11일 공개
WM3명B1A4, 오마이걸,
아이, 온앤오프
온앤오프
뮤직웍스2명백지영, 공민지, 유성은,
길구봉구, 마이틴, 김소희[A]
공민지, 김소희김시현B[14]
블록베리 크리에이티브1명이달의 소녀, 아이언
에잇디1명이소라, 감우성이소라, 이진호, 양세찬,
울림4명인피니트, 러블리즈,
골든차일드
러블리즈
플레디스2명애프터스쿨, 뉴이스트[15],
세븐틴, 한동근,
PRISTIN[16], 계범주
뉴이스트 W, 레이나[E]
2018년 5월 13일 공개
A team1명VAVVAV
MMO1명윤지성[B], 강다니엘[B],
손호영, 박보람, IN2IT
윤지성, 강다니엘,
손호영, 박보람, IN2IT
[C]
MND173명-전소민
에프이엔티1명강성민, 최정윤양동근, 신용재[C]
콜라주 컴퍼니1명-나비
페이브1명아이유, 지아차오루박소연, 이수민[17]
2018년 5월 14일 공개
HOW3명황치열황치열
위에화3명우주소녀, 형섭X의웅[B],
저스틴[B], 정정[B]
형섭, 의웅최승혁[C]
지비레이블1명-장문복
2018년 5월 15일 공개
FNC2명FT아일랜드, CNBLUE,
AOA, 엔플라잉[18], SF9
문세윤, 엔플라잉[C]
MNH1명청하[A]청하
RBW2명마마무, 브로맨스, 원위[19]마마무, 브로맨스, 서호,
건희, 동명, 환웅
서호, 건희, 환웅[C]
밀리언마켓2명SURAN, 우태운, 페노메코
바나나컬쳐2명EXID,TREI이정현, 하승리
스톤뮤직4명김재환[B][20], 다비치,
SG워너비, 헤이즈,
로이킴, 프로미스나인,
에릭남
에릭남
얼반웍스1명김응수, 크리샤 츄김일중, 장영란, 크리샤 츄
웰메이드예당2명고나은, 진지희, 혜이니김태균, 박수홍, 허은정[21]
2018년 5월 16일 공개
CNC[22]5명-신현수, 최리
큐브1명비투비, 펜타곤, CLC[23],
라이관린[B], 유선호[B],
(여자)아이들[24]
비투비, 펜타곤, 김기리,
유선호, (여자)아이들
[E]
YG케이플러스2명권현빈[B], 김현우[B],
문현주[A], 정효준[B]
심소영[25], 차오루[26][C]
개인연습생2명-김재환[B], 김소혜[A], 전지우, 신비[27]
스타쉽3명우주소녀[28], 정세운[B],
몬스타엑스
우주소녀, 정세운, 몬스타엑스이광현[E]


6.2. 일본 기획사[편집]


소속사연습생소속 연예인응원 동영상
2018년 5월 12일 공개
AKB48
AKS[29]16명AKB48오카다 나나[30], 오구리 유이[31]
호리프로1명이타노 토모미, 아야세 하루카, 타케우치 료마이지리 오카다
선뮤직1명마츠다 사토시, 베키고☆져스, 카즈레이저
Oh enterprise1명이나가키 준이치, 에구치 치나츠 등이나가키 준이치
2018년 5월 13일 공개
NMB48
Showtitle[32]6명야마다 나나, 미아키 리호요시다 아카리
2018년 5월 14일 공개
SKE48
어빙1명나가오 마리야스다 아카리, 오오바 미나
AKS1명AKB48
HKT48
AKS10명AKB48토요나가 아키, 마츠오카 하나, 모리야스 마도카
2018년 5월 16일 공개
NGT48
AKS2명AKB48오기노 유카


7. 참가자[편집]



파일:프로듀스 48 로고 화이트.svg
프로듀스 48
의 참가자
[ 펼치기 · 접기 ]

전체 참가자 목록
파일:IZ*ONE 로고 화이트.svg
강혜원권은비김민주김채원미야와키 사쿠라안유진야부키 나코이채연장원영조유리최예나혼다 히토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일본 국기.svg
최종회 데뷔조 탈락자
박해윤이가은A한초원A미야자키 미호시로마 미루시타오 미우타카하시 쥬리타케우치 미유
11회 기준 방출자
김나영김도아김시현나고은왕이런이시안장규리허윤진고토 모에무라세 사에
8회 기준 방출자
고유진김민서김소희김수윤김초연김현아박민지박서영배은영손은채왕크어유민영윤해솔이유정이하은조가현나카니시 치요리모토무라 아오이무라카와 비비안무토 토무사토 미나미아라마키 미사키아사이 나나미야마다 노에이와타테 사호치바 에리이코지마 마코
5회 기준 방출자
강다민김다연김다혜김유빈박지은박진희박찬주신수현안예원알렉스 크리스틴원서연윤은빈이승현이채정조사랑조아영조영인최소은최연수홍예지황소연나가노 세리카나이키 코코로나카노 이쿠미마츠오카 나츠미모기 시노부시노자키 아야나아사이 유카오다 에리나이마다 미나이치카와 마나미카토 유우카쿠리하라 사에하세가와 레나
자진 하차한 참가자
없음마츠이 쥬리나우메야마 코코나우에무라 아즈사츠키아시 아마네타나카 미쿠
가나다순, 대한민국 기획사 소속으로 출연한 외국 국적자의 경우 한국에 기재
A: 실제 데뷔 예정인 참가자였으나, 조작으로 인해 데뷔 실패


  • 5월 11일부터 16일까지 전체 출연자들의 프로필이 홈페이지에서 순차적으로 공개되었다.
    • 5월 11일: 한국 참가자 13인 공개.
    • 5월 12일: 일본 참가자 19인 공개.
    • 5월 13일: 한국 참가자 8인, 일본 참가자 6인 공개.
    • 5월 14일: 한국 참가자 7인, 일본 참가자 12인 공개.
    • 5월 15일: 한국 참가자 16인 공개.
    • 5월 16일: 한국 참가자 13인, 일본 참가자 2인 공개.


7.1. 한국 참가자[편집]


  • 한국인 참가자들은 활동명이 아닌 공식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름 기준 가나다순에 따라 정렬, 방출자와 자진하차자 역시 가나다순이다.
  • 대한민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외국 국적자도 여기에 기재
  • 전체 참가자 목록은 문서 참고 바람.
  • 자세한 사항은 참가자별 개별 문서나 참가자 목록이 있는 문서에 서술한다. 동명이인일 경우 A, B 순으로 구별한다.
  • 일부 멤버 문서에는 대용량 사진 자료가 많으므로 LTE나 3G/舊 4G 사용시 데이터 잔량을 확인하며 열람하는 것을 권장한다.
  • 등급은 2회 방송의 최종 등급 평가 기준으로 작성.
  • 연습기간은 2018년 6월 기준
성명소속사생년연습 기간등급생존여부특이사항
1강혜원에잇디19999개월
F
IZ*ONE
데뷔
2권은비울림19955년 6개월
C
예아
3김민주얼반웍스20012년 10개월
C
4김채원울림200011개월
B
5안유진스타쉽20031년 4개월
A
6이채연WM20005년 7개월
A
[33]
7장원영스타쉽20041년 2개월
B
8조유리스톤뮤직20019개월
F
[G]
9최예나위에화19993년 5개월
B
[34]
10박해윤FNC19963년 10개월
D
최종탈락
11이가은플레디스19946년 11개월
A
애프터스쿨
12한초원큐브20021년 10개월
B
13김나영바나나컬쳐20021년 7개월
A
3차 방출
14김도아에프이엔티20031년 2개월
C
15김시현위에화19992년 2개월
A
[F]
16나고은RBW19991년
A
17왕이런위에화20001년 4개월
C
18이시안스톤뮤직19999개월
D
[G]
19장규리스톤뮤직19979개월
F
프로미스나인 [G]
20허윤진플레디스20016개월
F
21고유진블록베리 크리에이티브20002년 8개월
A
2차 방출
22김민서HOW20027개월
C
23김소희울림20038개월
B
24김수윤울림20019개월
C
25김초연A team20011년 6개월
C
26김현아콜라주컴퍼니19955년 6개월
B
27박민지MND1719992년 4개월
B
[F]
28박서영개인연습생19998년
D
[35]
29배은영스톤뮤직19979개월
B
[G]
30손은채밀리언마켓19996개월
B
31왕크어HOW20008개월
D
32유민영HOW20006개월
B
33윤해솔뮤직웍스19973년 4개월
D
34이유정CNC20046개월
C
35이하은MNH20042년 4개월
A
36조가현스타쉽20031년 8개월
B
37강다민웰메이드예당200411개월
A
1차 방출
38김다연CNC20038개월
B
39김다혜바나나컬쳐20021년 1개월
C
40김유빈CNC20021년
D
41박지은RBW19974년 1개월
F
42박진희개인연습생19985년
F
[36]
43박찬주MND1719992년 1개월
D
44신수현페이브199611개월
F
[37]
45안예원YG케이플러스20014개월
F
46알렉스 크리스틴지비레이블19962년 11개월
C
47원서연MMO20007개월
F
48윤은빈CNC200411개월
B
49이승현WM20012년 5개월
C
50이채정MND1719993년 6개월
C
[38]
51조사랑밀리언마켓20036개월
F
52조아영FNC20011년 7개월
B
53조영인WM200110개월
C
54최소은뮤직웍스200110개월
C
55최연수YG케이플러스19994개월
F
[39]
56홍예지CNC20024개월
F
57황소연웰메이드예당20001년
A


7.2. 일본 참가자[편집]


  • 일본인 출연자들 또한 이름 기준 가나다순에 따라 정렬. 방출자와 자진하차자 역시 가나다순이다.
  • 전체 참가자 목록은 문서 참고 바람.
  • 자세한 사항은 참가자별 개별 문서나 참가자 목록이 있는 문서에 서술한다. 동명이인일 경우 A, B 순으로 구별한다.
  • 일부 멤버 문서에는 대용량 사진 자료가 많으므로 LTE나 3G/舊 4G 사용시 데이터 잔량을 확인하며 열람하는 것을 권장한다.
  • 연습기간은 2018년 6월 기준. 사실 연습기간이라고 되어 있으나, 연구생 기간과 정규멤버로 승격되고 활동한 기간까지 합산한 걸로 보인다. 이는 데뷔 경험이 있는 시즌 1,2 참가자도 마찬가지.
  • 한국 참가자와 달리 소속은 소속사가 아니다. 같은 AKB그룹 내에서도 소속사는 각자 다르다.

#성명소속생년연습 기간등급생존여부소속 팀총선최고순위(10회)
1미야와키 사쿠라HKT4819986년 11개월
A
IZ*ONE
데뷔
팀KⅣ (부캡틴)3(3)
2야부키 나코HKT4820014년 10개월
A
팀H9(9)
3혼다 히토미AKB4820014년 2개월
A
팀8, 팀B82(82)
4미야자키 미호AKB48199310년 8개월
D
최종탈락팀A18(-)
5시로마 미루NMB4819977년 9개월
D
팀M12(20)
6시타오 미우AKB4820014년 2개월
D
팀8, 팀A-
7타카하시 쥬리AKB4819977년 4개월
A
팀B (캡틴)11(12)
8타케우치 미유AKB4819968년 9개월
B
팀B-
9고토 모에AKB4820014년 7개월
C
3차 방출팀A65(65)
10무라세 사에NMB4819977년 1개월
C
팀BⅡ39(90)
11나카니시 치요리AKB4819956년 11개월
C
2차 방출팀B91(-)
12모토무라 아오이HKT4819976년 11개월
B
팀KⅣ (캡틴)36(71)
13무라카와 비비안HKT4819993년 1개월
F
팀TⅡ-
14무토 토무AKB4819947년 4개월
D
팀K7(7)
15사토 미나미AKB4820031년 8개월
F
팀A 연구생-
16아라마키 미사키HKT4820014년 10개월
F
팀TⅡ-
17아사이 나나미AKB4820001년 8개월
D
팀4-
18야마다 노에NGT4819992년 11개월
F
팀NⅢ91(91)
19이와타테 사호AKB4819946년 9개월
D
팀B22(22)
20치바 에리이AKB4820033년 1개월
F
팀A-
21코지마 마코AKB4819976년
B
팀K19(19)
22나가노 세리카AKB4820014년 2개월
F
1차 방출팀8, 팀467(-)
23나이키 코코로NMB4819974년 7개월
C
팀N54(54)
24나카노 이쿠미AKB4820004년 2개월
B
팀8, 팀K85(-)
25마츠오카 나츠미HKT4819966년 11개월
C
팀H (캡틴)46(55)
26모기 시노부AKB4819976년 9개월
D
팀K47(-)
27시노자키 아야나AKB4819966년 9개월
F
팀A78(94)
28아사이 유우카SKE4820033년 3개월
F
팀E-
29오다 에리나AKB4819974년 2개월
F
팀8, 팀K60(60)
30이마다 미나HKT4819976년 11개월
C
팀KⅣ90(-)
31이치카와 마나미AKB4819995년 5개월
C
팀K-
32카토 유우카NMB4819976년 6개월
B
팀M33(86)
33쿠리하라 사에HKT4819964년 10개월
D
팀TⅡ96(96)
34하세가와 레나NGT4820012년 11개월
F
팀G77(77)
35마츠이 쥬리나SKE4819979년 11개월
B
자진하차팀S1(1)
36우메야마 코코나NMB4820032년
F
팀N-
37우에무라 아즈사NMB4819993년 4개월
F
팀BⅡ-
38츠키아시 아마네HKT4819991년 11개월
F
팀TⅡ-
39타나카 미쿠HKT4820014년 10개월
C
팀H10(10)


8. 각종 기록[편집]


볼드체는 최종 선발된 인원.

  • 연습생 평균 연령: 19.5세[40]
  • 최고령 연습생: 미야자키 미호(1993년생, 만 24세[41].)
  • 최연소 연습생: 강다민, 윤은빈, 이유정, 이하은, 장원영 (2004년생, 만 13-14세.)
  • 최다 연령층: 2001년생(만 16-17세. 총 18명.)[42]
  • 연습생 평균 연습기간: 3년 2개월[43]
  • 최장 기간 연습생: 미야자키 미호(10년 8개월)[44]
  • 최단 기간 연습생: 안예원, 최연수, 홍예지(4개월)
  • 연습생 평균 신장: 161.5cm[45]
  • 최장신 연습생: 안예원[46], 윤해솔, 허윤진[47] 고토 모에 (172)
  • 최단신 연습생: 야부키 나코(149cm)
  • 연습생 평균 체중: 46kg
  • 최고 체중 연습생: 김현아, 이마다 미나(56kg)[48]
  • 최저 체중 연습생: 손은채(38kg)
  • 순위가 가장 크게 상승한 연습생: 왕크어 59계단 상승(2회)
  • 순위가 가장 크게 하락한 연습생: 야마다 노에 27계단 하락(8회)
  • 최저 등수와 최고 등수의 격차가 가장 큰 연습생: 한초원 (88위→9위, 79계단 상승), (실제 변동 88위→6위, 82계단 상승)
  • 레벨상승의 격차가 가장 큰 연습생: 야부키 나코(F에서 A로 상승)
  • 레벨하락의 격차가 가장 큰 연습생: 조유리(A에서 F로 하락)
  • 최고 평균 등수: 미야와키 사쿠라(3.125등)[49]
  • 최종 1등: 장원영
  • 최종 92등: 원서연[50]
  • 한번도 데뷔권 밖으로 밀려나지 않은 연습생: 미야와키 사쿠라, 장원영, 이가은


9. 시청률[편집]


회차방송일자닐슨 유료플랫폼 전국 기준
1회2018년 6월 15일1.1%
2회2018년 6월 22일1.9%
3회2018년 6월 29일2.0%
4회2018년 7월 6일2.8%
5회2018년 7월 13일2.5%
6회2018년 7월 20일2.5%
7회2018년 7월 27일2.1%
8회2018년 8월 3일2.4%
9회2018년 8월 10일2.6%
10회2018년 8월 17일2.6%
11회2018년 8월 24일2.4%
12회2018년 8월 31일3.1%


10. 프로그램 외 활동[편집]



10.1. 무대 출연[편집]


엠카운트다운 <내꺼야(PICK ME)>
2018년 5월 10일 엠 카운트다운을 통해 96명의 내꺼야 (PICK ME) 단체 무대가 공개되었다. 기존의 삼각형 형태에서 벗어나 마름모 형태의 무대로, 센터는 미야와키 사쿠라의 단독 센터. [51]

엠카운트다운 <내꺼야 (PICK ME) 연습복 Ver.>
2018년 6월 14일 엠 카운트다운을 통해 연습복 버전이 공개되었다. 인원수 82명으로 스케줄상 참여하지 못한 연습생은 원샷시에 악세사리 착용 + LED 배경 으로 찍혔다.

샤메회 일정으로 약 11명이 빈 상태로 찍은 뮤비이며 출연한 모든 멤버가 분량이 있다 그리고 개인 직캠까지 존재한다.[52]

8월 23일 방송한 엠 카운트다운에서는 콘셉트 평가에서 무대했던 6팀 모두 무대를 했다.


10.2. 윙크요정, 내꺼야![편집]


5월 17일부터 공개된 콘텐츠로, 참가자들은 셀프 동영상을 촬영한다. 자기 소개 후 윙크요정, 내꺼야!를 외치면 내꺼야의 후렴이 흘러나온다. 이 때 노래 가사 중간에 내꺼가 들어갈 때 마다 화면을 보고 윙크를 한다. 공개 순서는 자기 PR 영상의 역순이다.


10.3. 국프의 정원[편집]


2018년 5월 21일부터 국프의 정원이 시작되었다. 지난 시즌의 마이돌, 마보이와 같은 방식의 인기 투표.

시즌 2와 마찬가지로 득표 레벨은 총 5단계이며, 국민 프로듀서의 후원을 받아 각 단계에 도달한 연습생은 지정된 선물을 받고 인증샷이 올라온다. 연습생마다 1일 1회 투표가 가능하며, 투표할 수 있는 연습생의 수에는 제한이 없다. 1단계 달성 상품은 칼로바이 워터젤리. 2단계 달성 상품은 MYCT 왕관세트, 3단계 달성 상품은 미미박스, 4단계 달성 상품은 모비프렌. 5단계 달성 상품은 간식차인데 지난 시즌 비판받았던 걸 의식했는지 대놓고 '역조공 간식차'라고 쓰여있다. 6월 1일 참가자들 중 처음으로 미야와키 사쿠라의 그래프가 떴다.

참가자1단계2단계3단계4단계5단계
미야와키 사쿠라6/167/67/208/68/20
야부키 나코6/257/147/288/14
타케우치 미유6/257/157/298/16
혼다 히토미6/287/167/298/16
시타오 미우7/37/208/18/17
안유진6/207/147/288/18
장원영6/207/147/288/19
이가은6/237/157/318/20
고토 모에6/227/147/3 18/21
시로마 미루6/227/188/38/21
권은비6/257/178/18/22
타카하시 쥬리6/287/208/38/24
미야자키 미호6/297/238/68/24
최예나6/247/188/38/25
조유리6/257/198/58/31
장규리6/187/178/3
치바 에리이6/277/188/4
강혜원7/37/218/6
김민주6/307/218/11
김채원6/307/238/11
왕이런6/277/208/12
허윤진7/17/218/12
무라세 사에7/37/248/12
이채연7/17/248/13
김나영7/67/288/14
김시현6/287/238/16
김도아7/17/248/16
한초원7/117/308/20
박해윤7/118/38/22
나고은7/47/288/24
이시안6/287/248/25
마츠이 쥬리나6/197/16
코지마 마코6/247/20
고유진6/287/23
무라카와 비비안6/277/23
나카니시 치요리7/17/24
무토 토무6/297/24
아사이 나나미6/297/24
배은영6/287/26
야마다 노에6/297/26
이와타테 사호7/37/29
사토 미나미7/67/30
이유정7/38/2
아라마키 미사키7/88/4
모토무라 아오이7/4
강다민7/6
나카노 이쿠미7/6
오다 에리나7/6
이하은7/6
김초연7/7
김수윤7/8
마츠오카 나츠미7/8
김소희7/9
모기 시노부7/9
신수현7/9
박서영7/10
하세가와 레나7/12
김민서7/13
손은채7/13
윤은빈7/13
박민지7/15
윤해솔7/17
김현아7/18
왕크어7/18
조가현7/20
유민영7/21


10.4. 히든박스[편집]


2018년 5월 25일부터 5월 28일 공개된 3번째 PR 영상. 1분 안에 히든박스의 내용물을 촉감으로 알아맞히는 게임이다. 시즌2와 마찬가지로 연습생들을 둘씩 짝지어 1 대 1 대결을 펼친다. 맞히게 되면 미공개 프로필 사진 업데이트권을 받고 남은 시간 동안 자기 PR을 할 수 있다. 먼저 맞힌 연습생에게 혜택이 주어지고 진 연습생은 마스크를 낀 채 발언권을 잃게 된다.

지난 시즌처럼 본방 이후에는 이 히든박스 영상만 편집한 30분짜리 프로그램을 따로 방영하기도 했다. 1분 자기소개도 마찬가지.

[ 대진표 펼치기 · 접기 ]

내용물승리패배
2018년 5월 25일 공개
두부박해윤나고은
풍선박지은시타오 미우
청포도김나영혼다 히토미
아라마키 미사키아사이 나나미
셔틀콕오다 에리나조영인
가발이채정박찬주
양배추유민영조아영
2018년 5월 26일 공개
김다연조가현
거미 인형황소연고유진
브로콜리김유빈홍예지
멍게이가은미야와키 사쿠라
바게트나이키 코코로모기 시노부
우동치바 에리이사토 미나미
키위배은영나카노 이쿠미
목도리윤은빈모토무라 아오이
2018년 5월 27일 공개
두부왕이런왕크어
낙지박민지김시현
미꾸라지권은비이채연
미역최연수야마다 노에
오이최소은김도아
슬라임무토 토무이와타테 사호
곤약이마다 미나마츠오카 나츠미
제기김수윤김채원
2018년 5월 28일 공개
아보카도타카하시 쥬리[1]
지렁이 젤리손은채조사랑
순대이시안미야자키 미호
대걸레타케우치 미유김현아
우동마츠이 쥬리나김다혜
낙지박진희허윤진
생닭김초연고토 모에
내용물시간 초과
2018년 5월 25일 공개
슬라임김소희이유정
생닭안유진장원영
인절미하세가와 레나한초원
미꾸라지나카니시 치요리최예나
거미 인형나가노 세리카코지마 마코
2018년 5월 26일 공개
미꾸라지장규리조유리
우동야부키 나코타나카 미쿠
워터젤리아사이 유우카카토 유우카
하이힐신수현안예원
2018년 5월 27일 공개
목이버섯이승현시로마 미루
거미인형강혜원무라카와 비비안
철수세미원서연윤해솔
미역김민서김민주
2018년 5월 28일 공개
아스파라거스박서영알렉스 크리스틴
워터젤리강다민이하은
파프리카무라세 사에쿠리하라 사에
브로콜리시노자키 아야나이치카와 마나미

[1] 히든박스 촬영 당시 3명의 자진하차자가 생겨 총 참가자가 93명으로 짝이 맞지 않아 혼자 진행했다. 타나카 미쿠는 히든박스 촬영 후 하차했다.


10.5. 도전! 아이컨택[편집]


2018년 5월 30일부터 6월 2일까지 공개된 4번째 PR 영상. 규칙은 프로듀스 101 시즌2와 동일하다. 연습생들은 눈을 감을 때까지 자신의 개인 영상을 찍을 수 있다.

아이컨택 분량 TOP12
순위연습생영상 길이[53]
1위홍예지5분 32초
2위박민지4분
3위마츠이 쥬리나2분 52초
4위이시안2분 49초
5위황소연1분 26초
6위김유빈1분 1초
7위코지마 마코58초
8위김민서51초
9위알렉스 크리스틴50초
9위이채정50초
11위야마다 노에49초
12위나카노 이쿠미47초


10.6. 마이크, 내꺼야![편집]


2018년 6월 8일부터 6월 10일까지 공개된 5번째 PR 영상. 연습생들은 둘씩 짝지어, 노래방 반주에 맞춰 노래 한 곡을 완곡한다. 진지하게 곡을 완창하는 것이 아니라 말그대로 의식의 흐름대로 즐기는 것이 포인트.

[ 선곡표 펼치기 · 접기 ]

선곡연습생
2018년 6월 8일 공개
Tell Me권은비윤은빈
헤비 로테이션김시현코지마 마코
사쿠란보시노자키 아야나이치카와 마나미
뿜뿜강다민황소연
코코로노 치즈시로마 미루카토 유우카
내 여자라니까김현아박지은
호빵맨 행진곡사토 미나미아사이 나나미
오빠야강혜원신수현
마루마루 모리모리무토 토무이와타테 사호
Trouble Maker이채연조영인
소녀시대배은영왕이런
사랑하는 포춘쿠키야부키 나코타카하시 쥬리
좋아원서연윤해솔
Love Is An Open Door야마다 노에장규리
Tears이유정홍예지
2018년 6월 9일 공개
삐딱하게김나영조가현
희망적인 리프레인시타오 미우오다 에리나
우주를 줄게김도아장원영
Best Friend마츠이 쥬리나이가은
Fantastic Baby김민서왕크어
춤추는 폼포코링나가노 세리카혼다 히토미
사랑을 했다김수윤김채원
Holiday조유리허윤진
Bang Bang나카노 이쿠미박민지
Heartbeat안예원이시안
좋은 날고토 모에김다혜
압구정 날라리최소은한초원
너 아님 안돼박진희조아영
TT아라마키 미사키쿠리하라 사에
빨간맛이하은조사랑
MR.TAXI무라카와 비비안이마다 미나
2018년 6월 10일 공개
꿈처럼나고은박해윤
Uptown Funk박서영알렉스 크리스틴
미스터미야자키 미호최연수
요괴체조 1번나이키 코코로마츠오카 나츠미
나야나김초연손은채
나의 태양아사이 유우카치바 에리이
I Tried김민주유민영
Cutie Honey나카니시 치요리무라세 사에
내가 제일 잘나가박찬주이채정
PPAP모기 시노부하세가와 레나
Tears고유진김소희
외톨이김유빈김다연
instagram이승현타케우치 미유
사쿠란보모토무라 아오이미야와키 사쿠라
사랑의 배터리안유진최예나



11. 이전 시즌과의 차이점[편집]


  • 국민 프로듀서 대표 등장 시점
지난 시즌까지는 국민 프로듀서 대표인 장근석보아가 1화부터 등장하였지만, 이번 시즌 국민 프로듀서 대표인 이승기는 소속사 평가와 <내꺼야> 영상 평가 회의에 참석조차 하지 않았고 3화가 되어서야 무대 촬영부터 등장했다.[54] 그렇다면 캐스팅이 늦게 된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지만 묘하게 이후의 분량도 적은데 대표적으로 센터 선발전과 2차 포지션 평가 안내는 소유가 했고 포지션 평가의 공연 진행은 뜬금없는(물론 소유와 같은 그룹 멤버였고 이승기와 현재 같은 소속사 식구인) 보라가 맡았다. (결과적으로는 대성공이었지만) 우려가 많았던 시즌 2에 프로듀서 대표로 보아가 참여한다는 기사가 나자마자 퀄리티가 확 올라간 듯한 인상을 준 것과는 반대의 의아한 상황.
  • 데뷔조 인원
지난 시즌까지는 데뷔조 그룹의 멤버가 11명이었지만, 이번 시즌에서는 12명이다. 지난 시즌까지는 101이라는 숫자와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11명이었으며, 이번 시즌에서도 마찬가지로 48이라는 숫자와 연관된 숫자인 12를 맞추기 위해 (12=4+8) 멤버 수가 한명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데뷔조가 한 자리 늘어난 것이 최종회 때 감동적인 장면으로 마무리되면서 결과적으로 신의 한 수가 되었다.
  • 대형
기존엔 주제가 뮤비의 대형이 삼각형이었지만, 내꺼야 (PICK ME) 뮤비에서는 삼각형 무대 2개가 붙어서 마름모 형태가 된다.[55] 싱글 커버와 안무에도 마름모가 들어있다.
  • 프로그램 제목과 데뷔 그룹 명칭
프로그램 제목 뒤에 101을 붙이던 지난 시즌과는 달리 AKB48과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인해 48을 붙이게 되었다. 그로 인해 데뷔 그룹 명칭을 추측하기가 어려워졌다. 지난 시즌에선 101(원오원)를 변형하여 그룹 이름을 지었는데, 이번엔 48(포티에잇)이라서 변형하기가 101이랑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명이 어려우며, 만약 AKB48의 작명 스타일을 따라 "○○○48"로 지을 수도 있겠지만 가능성은 낮다. 결국 멤버 수가 12(4+8)명이기 때문에 12를 형상화 한 IZ을 포함한 IZ*ONE이라는 그룹명으로 결정되었다.
  • 참가 인원수
기존엔 101명의 연습생만 참여했는데, 이번엔 한국 연습생(국내 소속사의 외국인 참가자 포함) 57명과 일본 참가자(AKB48 그룹) 39명으로 총 96명이 참여한다.
  • 속보
프로듀스 시리즈 최초로 속보 시스템을 도입, 방송이 없는 날에도 실시간 순위 중간 집계 상황을 공개한다. 1회 방송 이후 한동안 없어서 있으나마나한 시스템이었는데 8월 7일, 30명 생존 당시 기습적으로 공개해 커뮤니티를 터트렸다.
  • 교복
단체무대/순위 발표식 때 입는 교복이 동복에서 하복으로 바뀌었다. 촬영기간이 지난번과 다르게 여름철이 끼여있어서 이를 대비한 듯.
  • 활동기간
2018년 9월 24일, AKB측은 11월 28일 발매되는 54번째 싱글 NO WAY MAN을 끝으로 데뷔조에 들어간 멤버들이 2021년 4월까지 IZ*ONE 전임으로 활동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로써 일본 멤버들은 54번째 싱글 녹음과 뮤직비디오 촬영에만 참여하고, 데뷔 후 2년 반동안 IZ*ONE 전임으로 활동하는 게 확정되었다.

  • 방영 횟수
시즌1, 2 모두 11회까지 방영이 되었으나, 이번 시즌은 방영 기간이 1주 늘어나 12회까지 방영되었다. 이는 각 시즌의 데뷔조 인원수와 일치하며 제작진이 편성을 일부러 이렇게 한 것으로 보인다.


12. 비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프로듀스 48/비판#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논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프로듀스 48/논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사건 사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프로듀스 48/사건 사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음원[편집]



15.1. 싱글[편집]


파일:20165863.jpg
트랙제목작사작곡편곡발매
1내꺼야 (PICK ME)PRODUCE 48Flow Blow, AirAir, Louise Frick SveenFlow Blow, AirAir2018.05.10
2NEKKOYA (PICK M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내꺼야 (PICK ME)#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2. 컴필레이션 음반[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PRODUCE 48 - 30 Girls 6 Concepts#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3. 파이널 음반[편집]


파일:produce48final.jpg
트랙제목작사작곡편곡발매
1앞으로 잘 부탁해 (We Together)백곰, 빼꼼백곰, 박기태박기태2018.09.01
2반해버리잖아? (好きになっちゃうだろう?)秋元 康
(아키모토 야스시)
早川博隆, Belex
3꿈을 꾸는 동안 (夢を見ている間) (Korean Ver.)이기용배
4꿈을 꾸는 동안 (夢を見ている間) (Japanese V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PRODUCE 48 - FINAL#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관련 걸그룹[편집]



16.1. 데뷔조[편집]


그룹명데뷔 일자소속사비고
IZ*ONE2018년 10월 29일오프더레코드 엔터테인먼트2021년 4월 29일 활동 종료


16.2. 기존 걸그룹[편집]


  • 한국
그룹명관련 연습생데뷔 일자소속사비고
애프터스쿨이가은2012년 6월 21일 [56]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2012년에 애프터스쿨 합류, 2019년 계약 만료 후 졸업
예아권은비2014년 7월 18일키로이컴퍼니해체 후 울림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참가
프로미스나인장규리2018년 1월 24일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57]종영 후 복귀, 2022년 8월 1일 탈퇴[58]

  • 일본
그룹명관련 연습생데뷔 일자소속사비고
AKB48미야자키 미호 외 18명2005년 12월 8일AKS 외 3개 사
SKE48마츠이 쥬리나, 아사이 유우카2008년 8월 23일어빙엔터테인먼트, AKS
NMB48시로마 미루외 5명2010년 10월 9일showtitle
HKT48마츠오카 나츠미 외 9명2011년 10월 23일AKS
NGT48야마다 노에, 하세가와 레나2015년 8월 21일AKS


16.3. 기존 걸그룹에 새 멤버로 합류[편집]


그룹명관련 연습생합류 일자소속사비고
앨리스[59]이채정2020년 2월 12일[60]후너스엔터테인먼트[61]MND17 엔터테인먼트에서 이적
SECRET NUMBER박민지2021년 10월 18일[62]바인엔터테인먼트MND17 엔터테인먼트에서 이적


16.4. 신규 걸그룹[편집]


※프로듀스 48 종영 후 출신 연습생이 일부 속해 데뷔한 걸그룹 목록이다.
그룹명관련 연습생데뷔 일자소속사비고
2018년
아쿠아윤해솔11월 17일뮤직웍스[63]걸그룹 게임단, 6개월 한정 활동
FANATICS-FLAVOR김도아11월 26일FENTFANATICS의 유닛으로 먼저 데뷔
2019년
체리블렛박해윤1월 21일FNC엔터테인먼트
EVERGLOW김시현, 왕이런3월 21일위에화엔터테인먼트
FANATICS김도아8월 6일FENT사실상 해체
로켓펀치타카하시 쥬리
김수윤, 김소희
8월 7일울림엔터테인먼트[64]
2020년
SECRET NUMBER박진희5월 19일바인엔터테인먼트
블링블링김유빈11월 17일메이저나인[65]2022년 7월 26일 해체
2021년
퍼플키스박지은, 나고은3월 15일RBW박지은은 2022년 11월 18일 탈퇴
LIGHTSUM한초원
김나영, 이유정
6월 10일큐브엔터테인먼트[66]
bugAboo김초연
손은채
10월 25일A team 엔터테인먼트[67]2022년 12월 8일 해체
IVE안유진, 장원영12월 1일스타쉽엔터테인먼트[IZ*ONE]
2022년
Kep1er김다연1월 3일웨이크원[68]걸스플래닛999 : 소녀대전의 데뷔조
H1-KEY이승현1월 5일그랜드라인엔터테인먼트[69]
LE SSERAFIM미야와키 사쿠라, 김채원, 허윤진5월 2일쏘스뮤직[70][IZ*ONE]
Queenz Eye강다민10월 24일빅마운틴엔터테인먼트[71]
2023년
Feverse권은비3월 6일카카오엔터테인먼트 소녀 리버스(RE:VERSE)의 데뷔조
CANDY TUNE무라카와 비비안3월 7일아소비시스템HKT48 졸업 후 CANDY TUNE 으로 재데뷔
AIM왕크어7월 4일무소속[72]하우엔터테인먼트에서 이적


16.5. 솔로 가수 데뷔[편집]


관련 연습생데뷔 일자소속사비고
알렉스 크리스틴2019년 10월 21일지비레이블AleXa라는 이름으로 솔로 데뷔
박서영2020년 5월 9일ROYA라는 이름으로 솔로 데뷔
권은비2021년 8월 24일울림엔터테인먼트[IZ*ONE][73]
조유리2021년 10월 7일웨이크원
강혜원2021년 12월 22일에잇디엔터테인먼트
최예나2022년 1월 17일위에화엔터테인먼트
이채연2022년 10월 12일WM엔터테인먼트
시로마 미루2022년 7월 6일FcontinueNMB48그룹활동 졸업 후 솔로 데뷔
김도아2023년 5월 23일파스키노그룹 활동 사실상 중단 및 솔로로 재데뷔

17. 평가[편집]


초반 사쿠라듀스 논란과 위스플 논란 등으로 시끌시끌하게 나갔으나 최종화까지 11주 연속 화제성 1위를 차지했고, 데뷔 걸그룹인 IZ*ONE이 성공적인 데뷔를 하면서[74] , 프로듀스 차기작 제작에 청신호가 켜졌다. 또한 일본에서도 시청열[75]1위를 기록했을 정도로 화제성과 주목도가 상당히 높았다.#

프로듀스 시리즈 역사상 가장 많은 싸움이 일어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매 화마다 안티 VS 팬으로 인터넷에서는 욕설과 비방글이 난무하고 인스타나 트위터에 댓글 테러를 하는 등, 그야말로 아수라장이 펼쳐졌다. 기회의 불평등, 악마의 편집 등 서바이벌 프로그램에서 나올 수 있는 논란은 사실상 거의 다 나왔다.

이전 시즌에 비하면 시청률이 가장 낮았지만 그래도 아이돌학교의 처참한 실패에서 교훈을 얻고 전국적으로 주목도와 화제성을 얻는 것에는 성공했다. 2018년 상반기 6월의 러시아 월드컵, 8월의 아시안게임이라는 경쟁 시간대 프로그램들의 악재속에도 충분히 시청률을 선방해내면서 전국적인 주목도와 화제성을 잘 이끌었고 유지해냈다.

또한 믹스나인, 더유닛 같은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 범람함에 따라 시청자들에게 주목도를 올리기가 힘들어서 식상해졌다는 말이 나오기도 했고, 한정되고 말라버린 인재풀 속에서도 주목도와 화제성을 잘 버텨낸 것은 주목할 일이다. 최종 데뷔조가 만족할 정도로 잘 나왔다는 것도 대체적으로 동의하는 상황이다.

프로듀스 48에 대해 심도있게 분석한 중앙일보의 기사에서는 일단 방송이다 보니 시청률이 기준이 될 수밖에 없다면서 이런 관점에선 실패에 가깝다고 보았다. # 그러나 IZ*ONE이 성공적인 데뷔를 한 현재 시점에서는 다시금 재평가를 받을 여지가 생기기는 했다. 어쨌든 네임밸류로 아이돌 그룹을 흥행시키는 국내 유일한 프로그램이라는 게 역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투표 조작으로 데뷔조 멤버 2명이 바뀌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이러한 평가는 결과적으로 빛을 잃어버렸다.


18. 여성시대 장미단의 프로듀스 48 여론 조작 시도[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내용을 '여성시대 장미단 회원들의 여론 조작 시도'로 서술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내용을 '여성시대 장미단 회원들의 여론 조작 시도'로 서술하기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0





증거 사진장미단의 행적 모음

여성시대의 일부 회원들이 조직한 모임으로 보이는 '장미단' 회원들이 여러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여론몰이를 하려는 정황이 포착되었다. 본 문서를 비롯한 나무위키에서도 프로듀스 48에 대한 반달 모의를 한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이미 작업을 완료했다', '인스타 테러를 하자'든가 '일본의 커뮤니티에 침투해 방영 취소 여론몰이를 하자',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매니저를 커뮤니티 성향 사람으로 바꾸자' 등등 여러 커뮤니티에서 여론을 조작을 시도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더해 최근에는 장미단 내부에서 올림픽, 내림픽을 만들어 투표 참여와 여론 조작을 하고 있다는 주장이 올라왔다.외부링크


18.1. 반박[편집]


그러나 여성시대의 파생이라는 주장은 부실한 근거에 기반하고 있다. 한마디로 주작인 가능성이 크다는 것..

위의 캡쳐 및 주장이 신빙성을 얻지못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일단 위 캡쳐에서는 여성시대 말투를 전혀 사용하고 있지 않고 있다. 캡처에서는 긔체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소울드레서남자 연예인 갤러리에서 주로 사용하는 말투로, 여성시대에서는 사용된 적이 없다. 여시처럼 대형 커뮤니티의 경우 서로간의 유대감을 위해 말투를 비슷하게 사용하는 성질이 있으며, 심지어는 그 동안의 여성시대 뿐만 아니라 여성시대 파생 사이트들(내아카, 옆집언니, 오소리 등)도 하나같이 기존 여성시대 말투를 유지하였고, 말투의 범주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그러나 해당 캡쳐에서는 여성시대의 말투를 찾아볼 수 없으며, 오히려 '능국'이라는 남연갤에서 사용하는 필터링을 그대로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76].

또한 여성시대 카페 내에서도 장미단에 대한 글이나 작당 모의를 전혀 찾아볼 수 없다. 현재 여성시대를 포함한 대부분의 여초 사이트는 프로듀스48 프로그램에 대해 언급을 금하는 수준이며[77] 여성시대의 경우에도 언급 금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달글[78]을 제외하고는 내용에 상관없이 프로그램 자체를 언급하면 안 되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이기에 여성시대 내에서 프로듀스48에 대한 관심 자체가 매우 적으며, 여성시대 내에서 프로그램을 망하게 하려고 작당하기도 어렵다. 만약 진짜로 장미단으로 활동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면, 여성시대 내부 캡쳐본이 어떻게든 올라왔겠지만 그런 캡쳐본은 본방송이 종영할때까지 어디에도 올라오지 않았다.

결정적으로 사이트의 존재 여부가 불명확하다. '여시'와 '남성혐오'가 강조된 게시글 캡쳐 몇 장을 제외하고는 장미단에 관한 자료를 찾을 수 없으며, 심지어는 사이트 주소조차 찾을 수 없다.

결국 방송 시작 전에만 장미단 캡쳐본이 좀 돌아다니다 2화 후부터는 소식이 끊기며 묻히게 되었다.


19. 여담[편집]


  • 시즌1과 시즌2의 파생그룹이 인기가 있었기에 48도 파생그룹을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다.
첫번째 연합은 2018년 9월 2일 오후 06:20 기준 치바 에리이, 아사이 나나미, 사토 미나미, 아라마키 미사키, 무라카와 비비안 5명이 뭉친 연합이다. 이쪽의 가칭은 KBK 또는 KBK 48. 두 번째 연합은 고유진, 배은영, 코지마 마코 3명이 뭉친 연합이다. 이쪽의 가칭은 MBM이다. [79] 세 번째 연합은 2018년 9월 2일 오후 06:20 기준 김나영, 김도아, 김시현, 왕이런, 시로마 미루, 타카하시 쥬리 6명이 뭉친 연합이다. 인원수가 추가될 수 있는 상황였으나, 9월 3일부 공지로 6인 체제가 확정. YBY라는 가칭을 사용했다. 결과적으로 불발되었지만.
이를 다룬 기사도 실렸다.#당시 상황을 알고 싶으면 반달 당한 문서 참고

  • 프로그램이 종영된 2018년 12월이 되어서도 48사단 출신의 참여자들은 "프로듀스 48에 참여하게 되어서 너무 기쁘고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AKB48을 좋아하는 한국 팬들이 많이 늘어나게 되어서 기쁩니다." 같은 반응을 먀오방 쇼룸 방송에서 보여주기도 했다.[80]

  • 엠넷 측에서 공식적으로 의도한 것은 아니었지만, 절묘하게도 이 프로그램이 일본 대중문화 개방 2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 프로젝트라고 이야기를 해도 과언이 아니게 되었다. 이는 정확히 20년 전의 1998년 10월 20일부터 대한민국에서 일본 대중문화가 단계적으로 개방되기 시작한 태동기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일 연습생들간의 문화교류도 목적이었기 때문에 인터넷 상에서의 이 의견은 어느 정도 이치가 들어맞는 셈이 되었다. 실제로, 20년 전에 일본 대중문화 개방 당시 한국 문화가 일본 콘텐츠에 점령당할 것이란 우려가 쏟아졌지만, 결과는 그 반대로 되면서 한국이 일본에 수출한 콘텐츠 산업이 무려 9배나 앞서있었던 상태로 변하였다.

  • 프로듀스 시리즈 중 유일하게 FIFA 월드컵아시안 게임같은 국제대회 기간과 겹쳤던 시즌이다. 정말 천운이었던 것이 대한민국 대표팀의 경기와는 한번도 겹치지 않았는데,[81]만약 대한민국이 월드컵에서 D조로 배정되었거나[82], 아시안 게임에서 조별리그 1위로 진출했다면 대한민국 대표팀 경기와 방송시간이 겹치는 불상사가 일어날 뻔 했다!

  • AKB48 측은 프로듀스 48에 참가하는 일본 멤버들의 악수회를 비롯한 행사 불참 조치를 내리는 등 기존 팬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이번 프로그램에 대해 매우 각별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다만, 이로 인해 48사단 상위권 멤버들이 줄줄이 빠지게 되면서 그룹 멤버들의 반응은 마냥 좋지만은 않다. 최고 인기멤버인 사시하라 리노는 “인기를 얻기 위한 찬스라면, 인기가 없는 멤버가 가는 것이 맞겠죠?”라고 말을 남겼다가, 프로듀스 48에 긍정적이지 않은 48사단의 일본 현지 팬들 사이에서도 "저게 무슨 개소리냐?", "내가 지지하는 오시가 인기 없다는 소리냐?"라고 물의를 일으켰으며, 그 뒤에도 "프듀48 참가자로 인해 스케줄이 취소됐다"[83]라고 말하다가 국내 언론한테 몰매를 맞았다.

  • 대부분의 일본 참가자들이 히든 박스 미션에서 너무 무서워하거나 소리를 질러서 거슬리거나 유난떤다, 짜증난다는 반응이 많은데, 사실 이들이 이런 반응을 보이는 게 당연하다. 왜냐하면 일본 예능에서 자주 나오는 히든 박스는 곤충이나 파충류를 포함한 각종 동물이 들어있어서 이것들이 움직이거나 깨무는 등의 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편이기 때문. 잘못하면 알러지나 각종 질병을 일으킬 수도 있는 문제라서 주의가 필요한 부분인데, 짜고 치는 거라지만 어린 애들 데리고 너무 지나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거기다 사람이 직접 머리를 들이밀고 혓바닥을 낼름거리면서 미션 수행자의 손을 핥는 저질스러운 장면이 많아 이런 짓거리에 트라우마가 생긴 사람들이 많다.[84] 이렇듯 일본 참가자들은 대다수가 어린 학생들인데 몇 번씩이나 자국 예능에서 너무 크게 데였던지라 이들의 행동이 한국인의 시각에선 과민반응 같이 보이지만, 너무 당해서 그럴 만하니까 어쩔 수 없다고 보는 사람들도 있다. 특히나 akb 팬들은 이미 자신이 응원하는 멤버들이 예능에서 이런 학대를 받아온 걸 오랫동안 지켜본지라 일본과는 다르게 수위가 굉장히 약하고 매우 건전한 한국의 히든 박스를 그나마 맘에 들어한다. 물론 한국에서 일본과 같은 짓은 절대 못 한다.[85]

  • 첫방송 직후 개최됐던 제 10회 AKB48 총선거 결과발표에서 해당 프로그램에 출연중인 마츠이 쥬리나가 1위, 미야와키 사쿠라가 3위, 무토 토무가 7위에 올랐다. 심지어 미야와키 사쿠라는 총선 은퇴까지 선언했다. 프로듀스 48에 영향이 있을지는 지켜봐야 알 듯.

  • 그리고 이 선거에서 1위를 한 마츠이 쥬리나가 3위를 한 미야와키 사쿠라에게 1위 소감 발표에서 훈계를 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되었고[86], 마츠이 쥬리나는 모든 방송에서 하차하고 휴식기에 들어갔다. 하차하는 프로그램에 프로듀스 48도 예외는 아니었고 1차 순위 결정이 이루어진 5회에서 상당히 큰 나비 효과가 일어났는데, 13위의 높은 등수의 마츠이 쥬리나가 순위 결정 에 하차를 해서 59등의 나카노 이쿠미가 안타깝게 떨어지는 일이 벌어졌다.

  • 총선 7위를 했던 무토 토무는 아쉽게도 2차 순발식에서 탈락. 하지만 9위를 했던 야부키 나코가 최종 데뷔조에 들어갔다. 마지막으로 혼다 히토미는 이 선거에서 처음으로 권내 진입(82위)를 하고 데뷔조에 들어가는 대박을 터트렸다.

  • 아이돌학교 출신들이 몇몇 참가했는데 특히 장규리는 아이돌학교에서 최종선발되어 프로미스나인의 멤버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듀스 48에 참가했다. 이런 이름값 때문인지 1화에서는 각각 6, 10, 8, 18위를 차지하면서 선전했으나. 시간이 갈수록 중위권 이상으로 치고 올라기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한창 화제성이 떨어지던 3회 기준 등수는 다음과 같았다.
4회 이후로 이들 중 8회 조유리의 10위를 제외하고 데뷔권에 이름을 올리지 못하고 있으며 결국 배은영은 8회, 장규리/이시안은 11회에서 방출되었고 조유리만 간신히 파이널에 오르게 되었다. 다행히도 조유리는 전 순위발표식 순위인 18위에서 무려 15계단을 상승하며 3위라는 엄청난 순위로 데뷔하였으며, 최종회차 실시간 투표의 최대 수혜자 중 하나로 데뷔권에 이름을 올렸다.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 방송에서 일본 연습생들의 비음 문제를 지적하면서, 일본 연습생 가창력에 관한 댓글에 비음 관련 내용이 엄청나게 늘었다. '비음만 없으면', '프로듀스에서 트레이닝 받고 비음이 없어졌다.' 라는 식의 댓글이 본방 댓글은 물론, 유튜브 AKB관련 영상에 까지 올라오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건 매우 잘못된 오해다. 결론부터 말하면 비음이 없는 연습생은 대부분 원래부터 없었고 (타케우치 미유, 이와타테 사호, 고토 모에, 무토 토무 등), 비음이 있는 연습생(야부키 나코, 사토 미나미 등)은 단기간에 고치기 어렵다. 그 이유는 우선 일본어 발음 자체가 여성의 경우 비음으로 말하는 것이 정석이기 때문이다. 그것이 현대로 오면서 절반 정도 사라지게 되어 비음으로 말하지 않는 일본 여성도 많아졌지만, 반대로 비음으로 말하는 일본 여성이 아직도 상당히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평소에 비음이 아닌 발성으로 한번도 소리를 내본적이 없는 일본인 연습생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또 한국인에게는 비음 발성이 거슬린다고 느껴질지 모르겠지만, 일본에서 비음은 매우 친숙하기 때문에 거슬려 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
비성가수(이승환, 성시경 등)와의 비교는 옳지가 않은데 이들은 비강 공명을 중심으로 하고 살짝 콧소리가 섞이는 것이지만, 일본인(특히 일본인 여성)의 비음은 후두를 올려붙이고 비강을 쥐어짜듯이 내는 소리이기 때문에 정석적인 두성 기반의 팝 발성(소위 말하는 믹스보이스류)을 익히기 위해서는 반드시 고쳐야 한다. 이홍기 트레이너가 방송에서 비음을 없애려고 한 이유가 바로 이것이라고 보여지는데 예술에 정답은 없는 것이지만 이 비음 발성은 이미 너무 촌스러워져서 전세계 음악씬의 흐름에 맞추는 K-POP에는 맞지 않는다.[87] 이는 일본 문화계의 갈라파고스화의 한 형태이기도 한데 즉 일본 연습생들이 K-POP을 익히려면 좋든 싫든 익혀야 할 관문이다.[88]

  • 방영 당시 현장 투표나 온라인 투표가 특정 일본인 멤버들에게 집중되었었다. 그렇다 하더라도 주의할 점은 프로듀스101 시리즈가 그래왔듯 처음 투표가 어느 방향으로 과열되던 간에 최종 결과물은 거의 모든 시청자들에게 납득할 만한 수준이었고 예상대로 결과물인 IZ*ONE도 납득할 수 있는 멤버들로 나왔다는 것이 주된 평.

  • 여초 대부분의 사이트에서 언급이나 홍보가 막히자 트위치에서 트윕 영상으로 홍보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영도를 킨 중소기업 이상의 스트리머들에게는 한 번씩 프듀 홍보 팬메이드 영상이 종종 나온다..

  • 프로듀스 48에 참여했던 48사단의 일본인 멤버들이 많이 듣고 배워간 한국어는 의외로 '파이팅'이다. 한국 팬들이 경연 무대를 찾아와서 응원을 해줄 때나 한국 연습생들이 서로 격려할 때 많이 사용하는 단어가 '화이팅'이라서 그런 듯 하다. 그래서, 48사단 멤버들의 쇼룸 방송에서도 한국 팬들과 의사소통을 할 때 "화이팅!"을 많이 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 일본의 국민적 아이돌인 AKB48로 일반인과 덕후들의 이목을 집중시켜 흥행호조를 이어가던 시청률이 중반부터 유입이 적어지면서 정체 및 하락세를 맞이했다. 조선일보에서는 일본멤버들의 다각적인 매력을 조명하는데 실패한 것을 원인 중 하나로 내놓았다. 세간에는 경연이 터지지 않아 유입이 적어졌다는 의견과 다수의 여초 커뮤니티에서는 자체 언급 금지나 아예 공지로 언급 금지를 못 박아두어 홍보에 차질이 있었을거라는 의견, 위스플 특혜 논란 또한 유입에 방해를 줬다는 의견이 있다. 자세한건 프로듀스 48/비판 문서 참조.

  • 7회 방송 즈음 트위터의 언급량을 분석해 추후 데뷔조 최종 12인에 들 멤버를 추측해 본 기사가 나왔다. 이 기사에 따르면 미야와키 사쿠라, 안유진, 장원영, 야부키 나코, 권은비, 이가은, 최예나 7명은 데뷔 안정권이고[89], 나머지 다섯 자리를 놓고 왕이런, 시로마 미루, 타카하시 쥬리, 혼다 히토미, 허윤진이 경합을 벌일 것 같다고 예상했다.[90]

  • 일본에선 여자는 양반다리로 앉지 않는다는 문화가 있는데, 초창기 방송을 보면 일본 연습생 다수가 다리를 모으고 앉거나 인어공주 포즈로 조신하게 앉아있다. 그러나 점점 자세가 편해지더니 마지막엔 다들 양반다리로 변했다. 사실 문화 차이를 떠나, 앉은 자세가 불편해보이긴 하다. 때문에 편하게 양반다리로 앉아있는 모습을 보면 '한국 생활에 적응했구나' 라는 안도감이 든다는 팬들 반응. 자세를 보고 한국 생활에 얼마나 적응했는가를 알아보는 척도로 사용한다.

  • 프로듀스 48 방영 기간 중 한일 연습생 팬덤이 서로 '위스플톤' vs '혼모노 픽' 혹은 '애국픽' vs '매국픽' 등의 프레임을 그들 스스로 짜가며 상대측을 비난하고 첨예하게 대립했기에 'IZ*ONE' 팬덤의 앞날이 그리 밝지만은 않을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데뷔조가 잘 뽑힘으로서 그런 대립이 언제 있었냐는 것 마냥 잘 융화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엠넷 갤러리만 봐도 프듀 시절의 그 갤러리가 맞냐 싶은 만큼 강한 올팬기조를 유지하고 있고 개인팬들끼리 반발하는 모습은 거의 관찰되지 않고 있다. 일부 어그로, 망무새들이 날뛰고 있으나 선배 그룹인 아이오아이, 워너원에 비해서도 올팬 기조가 확연하게 나타나는 모습이 보인다.

  • 이례적인 기록이 동시에 나왔다. 이가은은 첫 회부터 11회까지 줄곧 데뷔권 순위 안에 있었으나 아이즈원으로 재데뷔에 실패했고 반대로 한 번도 데뷔권 순위 안에 들어 보지 못했던(속보 제외) 김채원이 아이즈원으로 데뷔하게 되었다.

  • 2018년 9월 5일, 프로듀스 48에 출연했던 미야자키 미호가 타케우치 미유, 이와타테 사호와 함께 프로듀스 48 뒷이야기를 풀었다. 사전오디션 당시 최소 170여명 이상의 AKB 사단 멤버들이 오디션을 봤으며, 3차에 무대 오디션까지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내꺼야 영상평가 당시에는 (전 시즌에도 그랬다지만) 3일간 하루 18시간 이상 연습만 했다고 하며, 미호는 당시 B반에 있던 마츠이 쥬리나가 우는 것까지 목격했다고 했을 정도였다.[91]

  • 프로듀스 48이 종영된 이후, 48사단의 멤버들이 SHOWROOM 방송에서 한국인들과 의사소통을 하면서 방송을 끝내려고 할 때 마지막 인사를 한국어로 "다시 만나!"라고 인사하면서 종료하는 경우가 많아지기 시작했다. 특히, 미야자키 미호"다시 만나!"를 절대로 빼먹지 않는다.

  • 그리고 다음날 새벽 1시에는 미야와키 사쿠라도 프로듀스 48 당시 멤버[92]들과 라디오를 진행하면서 뒷이야기를 풀었다. 저녁 5시부터 아침 10시까지 연습할 정도로 힘들었으며, 데뷔 7년차라 혼날 일이 잘 없었는데 트레이너 선생님한테 혼이나 오랜만에 혼나봤다고 소감을 남겼다. 그리고 트레이너에게는 통역을 붙여줬으나, 연습생 간 통역을 붙여주지 않아 아는 한국어와 몸짓을 동원했다는 이야기도 남겼다.[93] 그래도 한국 연습생들뿐만이 아니라 말을 붙일 기회도 없었던던 선후배간, 자매그룹 멤버들까지 교류가 생긴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 그래도 프로듀스 48에 출연했던 일본 멤버들은 종영 후 그 치열한 경쟁과 합숙생활을 견뎌낸데에 대한 확실한 보상을 받았다. 2018년 11월 말 발매된 54th 싱글 NO WAY MAN 앨범에는 생방송에 진출한 8명의 멤버가 선발 라인업에 올랐으며, 이중 최종적으로 아이즈원에 들어간 멤버 3명은 센터에 세워줬다. 총선 성적을 중시하는 선발 라인업에서 권외멤버가 타이틀곡에 선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일. 그리고 1~3차 순발식 기간동안 생존한 멤버 13명은 A타입 앨범 수록곡에 참여했으며, 나중에 리퀘아워 무대로 서기도 했다.MV무대 1차 탈락한 13명은 극장반 수록곡에 참여하게 되었다. 다만 쥬리나를 포함한 자진하차자 5명은 혜택을 받지 못했다.

  • 이외에도 전국악수회 레인에 프듀 멤버 라인을 세워주거나 태국 공연과 같은 외부 스케줄에 프듀 멤버들을 대거 참여시키는 등 나름의 인센티브를 주기 시작했다. 이 때문인지 프로듀스 48에 참가하지 않은 다른 48사단 멤버들 사이에서도 한국어 열풍이 불기도 했다.[94]# 심지어 비트카니발, 아이카부 등 AKB 게임관련 투표 이벤트에서 프듀 출신 멤버들이 강세를 보이기도 했다.

  • 35위와 90위로 탈락했던 뮤직웍스 윤해솔과 최소은 연습생은 8월 말 프로듀스 48 합숙소를 방문해 썰을 풀기도 했다.영상 위에서 언급된 일본 연습생의 언급처럼 내꺼야 합숙 당시에는 정말 지옥의 나날을 보냈던 것으로 추정된다.

  • 실제 무대 기준 3번 이상 같은 조로 만났던 연습생은 총 5조합이 있다. 장원영-혼다 히토미(너무너무너무 1조-Rollin Rollin-앞으로 잘 부탁해), 장원영-시로마 미루(너무너무너무 1조, Side to Side, Rollin Rollin), 안유진-최예나(너무너무너무 1조, Sorry not Sorry-I AM), 김민주-이채연(너무너무너무 2조-1000%-앞으로 잘 부탁해), 강혜원-한초원(붐바야 2조-널 너무 모르고-반해버리잖아?) 조합이 이에 해당한다.


  • 엠넷이 주최하는 걸그룹 서바이벌 프로그램에서 3회 연속 여자친구의 곡이 경연곡으로 나왔고[95] 이번 48은 이례적으로 한 걸그룹의 곡이 두 번 연속 경연곡으로 나왔다.[96] 전부 난이도가 높은 수준의 곡들이라 경연곡으로 쓰인 듯하다.

  • 그리고 엠넷에서 2019년부터 남자 연습생들을 모집해서 프로듀스 101 시즌 4를 제작한다는 논의를 하고 있다는 뉴스 기사가 실렸다. 다만, 세부적인 계획은 아직 확정된 것이 없다고 이야기하는 듯 하다.# 그러다가 12월 14일 MAMA in 홍콩이 끝난뒤에 예고가 나왔다. 제목은 프로듀스 X 101.

  • 파생그룹이 실패로 돌아간 뒤에도 현재 일부 일본 연습생이 한국에 진출을 시도하는 썰이 많이 풀리고 있으며, 실제로 한국에서 기획사와 이야기를 주고받은 연습생도 있었고, 이것은 2019년 3월 4일 최종 16등이었던 타카하시 쥬리가 AKB48을 졸업하고 울림엔터테인먼트로 공식 이적, 동년 동월 8일에는 프로듀스 48 종영 직후 AKB48 졸업과 한국 데뷔를 선언한 최종 17등 타케우치 미유미스틱스토리로 이적함으로서 공식화 되었다. 그 외에도 몇명의 일본 연습생이 한국 소속사와 계약을 진행 중이라는 썰도 있다.[97][98] 덕분에 한국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각각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 멤버를 언급하는 상황이지만[99] 어디까지나 오피셜은 쥬리미유 두 명 뿐이므로 과도한 추측은 자제하도록 하자.[100] 이후 타케우치 미유는 2021년 5월 3일 미스틱스토리와 결별했다.

  • 방송 내의 일본인 참가자들 이름을 외래어 표기법에 맞추지 않고 통용 표기로 사용하였다. 예를 들자면 타카하시 쥬리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다카하시 주리'[101][102]가 되고, 마츠오카 나츠미는 '마쓰오카 나쓰미'[103]가 되지만 AKB48 팬덤 내에서 통용 표기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보인다.

  • 프로듀스 48의 자진 하차자는 모두 일본인 연습생으로 프로듀스 시리즈 중 유일하게 자진 하차한 한국인 연습생이 없는 시즌이다.

  • 개인연습생으로 출연했던 박서영, 박진희 모두 데뷔를 했다.[104]

  • 과거 프로듀스 48의 기획 단계에서는 SNH48중국인 멤버들을 다수 참여시켜서 한국인 연습생들과 함께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을 진행할 계획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AKB48 측에서 일본인 멤버들을 대거 참여시키겠다는 제안이 오면서 기획안이 바뀌어 현재의 프로듀스 48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AKB48의 참여 소식을 들은 SNH48 측은 특정 사연 때문에 참가하지 못했다. 그리고 과거 중국 아이돌인 SNH48과 계획했던 기획안이 확대되어서 2021년 중국 현지 소속사에 소속된 중국인 연습생들이 상당수 참여하는 엠넷 오디션 프로그램 걸스플래닛999가 만들어지는데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

  • 최연소 참가자들인 2004년생들이 2023년 기준으로 만 19세가 되었으며 참가자 모두 성인이 되었다.

  • 조작 사건으로 인해 한국에서는 프로듀스 타이틀이 사실상 사장되었지만, 해외 현지에서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해외 시리즈는 계속되었으며, 본작의 사촌동생 격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는 PRODUCE 101 JAPAN THE GIRLS가 2023년 일본에서 방영 예정이다. 이홍기 트레이너가 한 번 더 트레이너로 참여한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12:33:32에 나무위키 프로듀스 48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본래는 5월 18일이 첫방송 예정일이었지만 연기되었다. 아마도 날이 날인 만큼 첫방송 날짜가 적절하지 못해서 연기했다는 카더라가 있다.[2] 단, 최종회의 경우 만 15세 미만의 출연자는 22시까지, 다음 날이 학교의 휴일인 경우 부모 동의 하에 24시까지만 출연할 수 있는 생방송 특성상 20시부터 4시간 방송되었다.[3] 국민 프로듀서 대표[4] 아카이브 파일:지니뮤직 아이콘.svg[5] 공교롭게도 트와이스가 TT로 일본에서 붐을 일으키기도 전에 이런 의논이 오고 갔다는 것이 꽤 묘한 타이밍이다.[6] 프로듀스 48 공식 스폰서이다. 한 번 투표할 때마다 기간 한정 4,800원 할인 쿠폰도 증정하고, 프로듀스 48 출연진들이 입고 나오는 옷도 판매하고 있다.[7] 지금은 막히고 404에러가 뜬다.[8] 전작인 프로듀스 101 시즌2에서 열어줘의 안무를 맡은 안무가이다.[9] 원밀리언 댄스스튜디오 소속 안무가[10] 장소는 프로듀스 101 시즌1과 동일하게 인천삼산월드체육관에서 할 것이 유력했었다. 그러나 실제 언론 보도 및 여러 소식을 종합하면, K팝 스타 예선 등을 촬영했던 인천남동체육관이었다.[11] 한국과 일본에서 각각 48명씩 총 96명이 참가하는 듯하였으나 참가자를 모두 공개하고 보니 한국에서 57인, AKB48측에서 39인 참여로 확인되었음.[12] 하지만 방송이 다 끝난 후 프듀48에 참가했던 일본연습생(들)의 피셜에 따르면 AKB48 사단 내의 신청자수는 170명가량.. 최소 100명은 넘었던 듯하며, 실제로 오디션 영상을 보더러도 연습생들은 최소 2번의 오디션을 거쳐서 방송출연자로 선발된 것으로 보인다. 사쿠라의 경우 한성수 프로듀스가 참관한 자리에서는 HKT48의 Make noise 춤을 선보였던데 반해 프듀48 12화에서 공개된 오디션 영상에서는 다른 복장에 다른 장소에서 붐바야 춤을 쳤던 것으로 포착되었기 때문이다.[13] 최유진은 말이 안 되는 게, 이미 프로듀스 101에서 권은빈CLC 합류 건으로 인해 투명인간 취급을 당하며 방출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사실 이것은 큐브의 잘못이 더 컸지만. 최유진은 3년 뒤 CLC의 활동이 사실상 정지된 상황에서 프로듀스 시리즈 시즌5 격인 걸스플래닛999 : 소녀대전에 출연하여 Kep1er로 재데뷔하게 된다.[A] A B C D 프로듀스 101 시즌1 출신.[14] 1시즌 참가 당시 해피페이스엔터테인먼트 소속[15] 멤버 중 JR, 민현, 백호, 프로듀스 101 시즌2 출신.[16] 멤버 중 나영, 로아, 유하, 결경, 은우, 레나, 시연 프로듀스 101 시즌1 출신. [E] A B C 3시즌 연속 개근출연.[B] A B C D E F G H I J K L M 프로듀스 101 시즌2 출신[C] A B C D E F 2시즌 연속 출연.[17] 1시즌 참가 당시 판타지오 소속[18] 멤버 중 유회승 프로듀스 101 시즌2 출신[19] 멤버 중 동명 프로듀스 101 시즌2 출신[20] 2시즌 참가 당시 개인연습생[21] 걸그룹 타히티 출신 배우[22] 판타지오와 연계된 연기학원이다.[23] 멤버 중 권은빈 프로듀스 101 출신[24] 멤버 중 소연 프로듀스 101 출신[25] 안예원 한정[26] 최연수 한정[27] 박서영 한정[28] 위에화 엔터테인먼트와 스타쉽 엔터테인먼트의 합작그룹. 멤버 중 연정 프로듀스 101 시즌1 출신.[29] AKB48을 관리하는 일본의 기획사이다. AKB48의 야스쿠니 신사 공연, 욱일기, 전쟁 미화 등 우익 논란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AKB48/논란 및 사건 사고를 참고.[30] AKB48 소속 전원 지원[31] AKB48 팀 8 지원[32] NMB48을 관리하는 일본의 기획사로 요시모토 흥업의 자회사이다.[33] K팝 스타 시즌3, SIXTEEN 출신.[G] A B C D 아이돌학교 출신[34] 남녀공학, 스피드 출신 배우 최성민의 친동생.[F] A B 프로듀스 101 시즌 1 출연.[35]YG 출신으로 BLACKPINK 데뷔조. 한국 멤버 중에는 최장기간 연습생.[36]YG 출신으로, 퓨쳐 2NE1 출신.[37] 믹스나인 출신.[38] 댄싱9 출신.[39] 셰프 최현석의 첫째딸.[40] 세는 나이[41] 1회차 방영일(2018-06-15) 기준[42] 최종 선발 김민주, 혼다 히토미, 조유리, 야부키 나코 총 4명.[43] 한국참가자 21.1개월, 일본참가자 63.6개월. 데뷔 이후도 연습기간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일본 참가자의 영향이 컸다.[44] 2007년 10월 6일 연구생으로 들어간뒤 12월 26일 데뷔했다. 체감해 보자면 아이유, 태민을 포함해 현재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어떤 1993년생 아이돌 가수도 미야자키 미호보다 먼저 데뷔한 사람은 없다.[45] 한국측 평균키 163.6cm, 일본측 평균키 159.5cm[46] 2023년 6월 현재는 키가 더 자라 174cm 이다.[47] 프듀 48 방영 당시에는 170cm 였으나 지금 현재는 172cm가 되었다.[48] 몸무게가 50kg 정도라고 해서 살쪄보인다고 판단하지는 말자. 여성들의 체형을 비롯해서 골격과 근육량을 고려했을 때 170cm가 넘을 경우에는 50kg 초반 대는 정상보다 낮은 체중이며 40kg대는 당연히 저체중이다. 그리고 김현아와 이마다 미나는 20대 여성들의 평균 신장으로 알려진 161.7cm보다 훨씬 넘는 170cm에 가깝다. 날씬함으로 둘째가라면 서럽고 여성들이 선망하는 몸매로 평가받는 톱모델 이소라도 50kg 초반 정도로 알려져있다는 것을 잘 생각해보자. 그리고 신디 크로포드같은 전통적인 80~90년대 슈퍼모델들은 170 후반의 키에 50kg 중후반대의 몸무게가 많았다. 지금과 같은 40kg대의 몸무게는 케이트 모스 이후로 헤로인 쉬크가 인기를 얻으며 등장한 것으로, 이소라 정도의 신장에다 40kg대의 몸무게라면 그야말로 뼈밖에 없는 마른 몸매이다.[49] 중간순위 속보는 제외한 평균 수치이다.[50] 최종 92위로 나머지 4명은 하차.[51] 2절부터 등장하는 이가은이 분량이나 원샷, 자리 위치 등에서 꽤나 센터스러워 언론에서도 이가은을 더블 센터, 혹은 한국 센터로 많이 오해했다. 그러나 내꺼야는 어디까지나 사쿠라 단독 센터이며 이가은은 그저 앞자리에서 춤을 춘 A등급 참가자1일 뿐이다.[52] 다만 무대복 직캠은 센터인 미야와키 사쿠라만 유일하게 가지고 있다.[53] 아이컨택 부분만 편집한 게 아니어서 실제 아이컨택 시간과는 차이가 있다.[54] 당시 이승기는 배가본드라는 드라마를 찍고 있어서 프듀48 녹화에 불참하는 일이 잦았다.[55] 덕분에 전작들과 다르게 내꺼야 뮤비만 봐서는 F등급을 제외한 연습생들의 정확한 등급을 아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었다.[56] 그룹 자체의 데뷔일은2009년 1월 15일[57] 프로듀스48 당시에는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 소속이었으나 아이즈원의 소속사 결성과 비슷한 시기에 오프더레코드엔터테인먼트로 소속사가 바뀌었다. 그 후 하이브 산하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로 옮겼다.[58] 플레디스와 새로 계약을 한 나머지 멤버들과는 달리 혼자만 기존 계약이 유지되었으며, 계약 기간이 끝나자 탈퇴했고 배우로 전향했다.[59] 리부트 이전 이름은 '엘리스(ELRIS)' 였다가 2022년 그룹명을 변경했다.[60] 그룹 자체의 데뷔일은 2017년 6월 1일.[61] 현재는 그룹전체가 아이오케이컴퍼니로 이적하였다.[62] 그룹 자체의 데뷔일은 2020년 5월 19일.[63] 데뷔 예정이었던 걸그룹 런칭이 무산된 뒤 뮤직웍스와 결별했다.[64] 타카하시 쥬리는 방송 당시엔 AKB48 소속으로 참여했다가 종영 이후 울림으로 이적했다.[65] 프로듀스 48 종영 후 CNC를 떠나 나병준 전 판타지오 대표가 세운 스타디움과 계약했으나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결별한 뒤 MLD엔터테인먼트 오디션에 합격했으나 들어가지 않고 메이저나인으로 들어갔다.[66] 김나영은 바나나컬쳐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이유정은 CNC 소속으로 출전했다가 프로듀스 48 종영 후 각각의 회사와 결별한 뒤 큐브엔터테인먼트에 비공개 연습생으로 들어갔다.[67] 손은채는 밀리언마켓 소속으로 출전했다가 프로듀스 48 종영 후 A team 엔터테인먼트로 이적.[IZ*ONE] A B C IZ*ONE 활동 종료 후 재데뷔[68] CNC 소속으로 출전했다가 프로듀스 48 종영 후 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로 이적.[69] WM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출전했다가 프로듀스 48 종영 후 그랜드라인엔터테인먼트로 이적.[70] 미야와키 사쿠라는 HKT48, 김채원은 울림엔터테인먼트, 허윤진은 플레디스 소속으로 출전했다가 이적했다.[71] 출연 당시에는 웰메이드예당 소속으로 출전했다가 종영 후 빅마운틴엔터테인먼트로 이적 후 데뷔[72] 출연 당시에는 하우엔터테인먼트 소속이었으나 종영 후 퇴사했다.[73] 다만 강혜원은 다른 IZ*ONE 멤버와 달리 솔로 정식 데뷔가 아닌 이벤트성 데뷔다.[74] 역대 걸그룹 데뷔 음반 초동 1위, 역대 걸그룹 음반 초동 9위(데뷔 당시)[75] ‘시청열’은 일본 TV 정보지 ‘쟈 테레비존(THE TELEVISION)’이 2016년 12월 런칭한 독자적인 지표로 SNS 및 인터넷 댓글 수 등을 포함한 TV 시청에 대한 열기를 측정해 온라인에 공개하는 자료다.[76] 당시에도 캡쳐본만 보고 남연갤러들이 모인줄 알았다는 사람도 극소수지만 존재했다.[77] 쭉빵에서는 아예 운영진이 프로그램 언급 금지를 공지로 내걸었고, 프로듀스48에 대한 이야기가 자유로운 여초는 더쿠, 인스티즈 등의 연예인 관련 게시판 뿐이다.[78] 익명의 회원이 하나의 주제로 글을 게시하면, 원글러를 포함해서 익명 회원들이 일종의 앓는 댓글을 다는 형식이다.[79] 그러나 디시인사이드 MBM 마이너 갤러리는 폐쇄되었다.[80] 특히 이번 프로젝트에 참가했던 상당수 AKB48 멤버들은 한국 팬들이 유입되는 등 팬층이 넓어졌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다. 이 중 압권은 무라카와 비비안이나 타케우치 미유로, 이 둘은 그야말로 진흙 속에 묻혀있던 진주가 발견된 것과 맞먹는 케이스다.[81] 타 국가 대표팀과의 경기와는 겹치는 시간이 종종 있었는데, 조별리그 B조모로코 VS 이란 전, D조나이지리아 VS 아이슬란드 전, 8강 우루과이 VS 프랑스 전이 이에 해당한다.[82] 전술한 나이지리아 VS 아이슬란드 전[83] 2차 순위발표식에 NMB48 시로마 미루, 무라세 사에가 악수회로 인해 불참한 것을 감안하면 더욱 실언이라고 할 수 있다.[84] 히든 박스 영상을 보고 일본 참가자들의 과도한 반응을 비판하던 몇몇 팬들은 상기 링크된 영상에서 나온 해괴한 벌칙들을 보고 여론이 180도 바뀌어서 일본 참가자들에게 그 동안 아무것도 모르고 오버한다, 유난떤다 그래서 미안하다거나 고생했다, 불쌍하다면서 일본 예능의 가학적인 히든 박스 벌칙을 너나 할 것 없이 비판했다.[85] 한국에서는 아무리 가학적인 예능이라도 넘지 말아야할 선은 확실히 지킨다. 한국 예능이 아직까지 심의나 검열, 그 밖의 여러 가지 사회-문화적 영향으로 인해 일본에 비하면 지나치게 엄숙하다는 비판이 있으나, 그나마 한국의 엄숙주의가 순기능을 발휘하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사실, 병균이 있을지도 모르는 도마뱀같은 것을 히든박스로 만져서 별로 좋을 것은 없다.[86] 자세한 내용은 마츠이 쥬리나로.[87] 2000년대까지만 해도 '동양인은 중음역대에서 배음(overtone)이 서양인에 비해 너무 약하기 때문에 동양인 보컬은 서양에 먹히지 않는다'는 것이 거의 정설로 받아들여졌다. 현대 K-POP의 보컬 트레이닝은 이것을 뛰어넘기 위한 부단한 연구의 결과이다. 현대에는 한국인 보컬이 외국에 먹히지 않는다는 소리를 진지하게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참고로 한국에도 비음 발성이 강하게 남아있는 장르가 있는데 바로 트로트다.[88] 트와이스의 보컬 디렉팅이 좋은 예인데 일본인 멤버들에게 기본적으로 최대한 비음이 티나지 않는 파트를 주거나, 혹은 역으로 비음을 강조해서 짧게 치는 킬링파트를 만드는 식이다. (대표적으로 'Likey')[89] 중간에 판세가 요동치긴 했지만 결론적으로 이가은을 제외하고 이들 모두 데뷔조로 생존했다.[90] 이중에서는 혼다 히토미만 생존했다.[91] 실제로 미호 본인도 도망치고 싶어했으며, 당시 다리 부상을 당했던 야부키 나코의 절친 타나카 미쿠를 포함해서 4명의 일본측 이탈자가 발생했다. 물론, 미쿠같은 경우는 계속 하겠다면서 하차하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었지만 "부상을 방치하면 더 이상 춤을 출 수 없게 된다."라는 진단이라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92] 미야자키 미호, 타케우치 미유, 나카나시 치요리, 야마다 노에[93] 한국어를 잘했던 미호는 그 통역마저도 붙여주지 않아 진성을 이해하는데 꽤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94] 한국어를 열심히 배우는 대표적인 48사단의 멤버는, 토모나가 미오가 있다.[95] 프로듀스 101 - 오늘부터 우리는, 아이돌학교 - 시간을 달려서, 프로듀스 48 - 귀를 기울이면[96] 그룹 배틀 평가 - 붐바야, 포지션 평가 - 뚜두뚜두[97] 기사를 작성한 기자가 다른 사람도 아닌, 프듀 종료 후에도 꾸준히 일연생들의 기사를 작성하고 타카하시 쥬리와 타케우치 미유의 계약 사실도 가장 먼저 알린 이상철 기자인지라 신뢰성은 상당히 높지만, 기사 내용에도 아직 협의중이라고 밝힌만큼 엎어질 가능성도 충분히 있기에 아직은 썰로 봐야 할듯.[98] 하지만, 4월 18일자 기사를 통해, 한국 진출 움직임을 보이는 멤버가 복수로 있는 것 자체는 사실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과연 이 중 몇명이나 도전을 하고 성공을 하게 될 지는 알 수 없지만, 확실히 물및에서 협의가 진행중인 것은 사실인 것으로 보인다.[99] 한국이나 48그룹의 상황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일본 팬들은 과거부터 한국 팬으로 알려진 미야자키 미호, 48그룹 내에서의 입지가 약하다 보니 한국 진출을 하는 쪽이 오히려 도움이 될 무라카와 비비안, 아사이 나나미 정도를 꼽고, 그냥 단순히 프듀만 보고 예상하는 사람들(특히 해외 팬들)은 코지마 마코, 시타오 미우, 시로마 미루, 무라세 사에 등을 꼽는 편이다. 단 한국 진출설을 부인한 코지마 마코나 각각의 그룹에서 현재 중심적 위치에 있는 시타오 미우나 시로마 미루 등은 확실히 가능성이 낮은 편.[100] 사실 타카하시 쥬리의 계약 발표 이후 "쥬리 외에 2명이 더 있다"라는 루머가 흐르기 시작했고, 4일 후 타케우치 미유도 계약을 함으로서 "진짜로 3명째가 있는 것 아니냐"라는 분위기가 생긴 편이다. 이는 한국만이 아니라 해외에서도 마찬가지로 일본의 K-POP 팬들도 '3명째는 누구냐?'라는 주제의 영상을 유튜브로 올리기도 할 정도다. 단, 그렇다고 모든 팬들이 3명째 루머를 믿는것은 아니고, 워낙 아쉬우니 떡밥이 터진 김에 행복회로 돌리며 상상이라도 해보자(원 소속이 있기 때문에 일본측 참가자들의 한국 데뷔는 다들 포기하는 상황이었는데 일부나마 꿈이 이루어진 것이니...)라며 아쉬움을 달래는 경우가 더 많은 편이다. 즉 진짜로 3명째가 있을 거라고 믿는 게 아니라 3명째가 있어줬으면 좋겠다에 가까운 것.[101] か행과 つ를 제외한 た행은 어두에 올 때 예사소리로 표기한다.[102] ㅈ, ㅉ, ㅊ의 뒤에는 이중 모음을 쓰지 않고 단모음으로 표기한다.[103] つ는 '쓰'로 표기한다. '쓰'는 つ와 조음 위치가 같다.[104] 프듀 시리즈 중 유일하게 개인연습생이 모두 데뷔했다.